미국의신규관세에도불구하고여전히동양-서양하이테크공급망의중심에있는일본
2025년 4월 14일
도널드 트럼프를 관세에 매료되게 만든 것은 강력했던 1987년의 일본이었다. 당시 그는 “일본을 세계 경제의 선두 위치로 끌어올린” 소위 불공정 협정을 비난하는 공개서한을 주요 신문에 기고했다.[1] 당시 41세의 부동산 개발업자였던 트럼프는 일본 사업가들이 최고급 부동산을 대거 매입하는 모습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2] 그는 일본 경제의 부상이 군사적 보호와 무역 불균형을 포함한 미국의 희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본이 “세금”을 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2025년 4월 2일, 트럼프는 성공적으로 복수했다. 미국 대통령이 된 그는 새로운 글로벌 관세 체제의 일환으로 일본산 수입품에 24%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었다. 일본이 받은 즉각적 영향은 다른 많은 국가보다 심했고, 닛케이 지수는 8개월 최저치로 곤두박질치며[3] 현지 은행과 칩 섹터 주식은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 상황 악화에 대해 걱정하는 것은 당연하며, 보수적 자세를 취하고자 할지 모른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은 기술 무역에서 여전히 매우 공생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변화하는 미-일 역학관계 속에서 투자자들은 현재 포트폴리오 가치를 보존하면서 시장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증권 담보 파이낸싱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강력한 기술관련 연계
이 같은 일은 이전에도 있었다. 미국 대통령으로서 첫 임기인 2017년부터 2021년까지 트럼프는 일본에 철강(25%) 및 알루미늄(10%) 관세를 부과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총리가 20번 이상의 회담을[4]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관세 면제를 확정하지 못했다.
하지만 일본 기업들은 독자적인 조치를 취했고, 결과적으로 지난 5년 동안 대미 외국인 직접투자에서[5]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최근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의 연례 설문조사에 따르면,[6] 일본 기업들은 관세 회피, 규제 완화, 상대적으로 저렴한 에너지, 법인세 인하 가능성을 기반으로 미국 영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양국은 기술 생태계 확보에 점점 더 집중하고 있다.[7] 2022년 미국과 일본은 경제 안보에 초점을 맞춘 회담을 진행했고, 그 결과 차세대 반도체를 위한 공동연구센터 등을[8] 신설할 계획을 세웠다.
일본은 반도체산업 투자에 대한 보조금 4조 엔[9] (254억 미국달러)을 약속하는 등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는데, 이는 국내총생산 기준으로 OECD 국가 중 최대 규모이다. Nvidia[10] 와 TSMC[11] 는 일본의 반도체 제조를 지원하기 위한 투자를 약속했다.
또한 일본 기업들은 특히 인공지능(AI) 인프라 분야에서 미국 내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미국은 OpenAI를 필두로 최고의 AI 기술기업들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의 투자회사 소프트뱅크는 OpenAI, 오라클, 그리고 아랍에미리트의 MGX와 협력하여 신규 AI 인프라 구축에 5,000억 달러를[12] 투자할 계획이다.
이러한 구축의 상당부분은 일본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기술집약적인 수출국이자(제조업 수출의 80% 이상을 기술 부문이 차지함) 기술 혁신과 데이터센터에 대한 탄탄한 기반을 갖춘 국가이다. 1인당 특허 출원건수에서 한국과 중국에만 뒤지는 일본은[13]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신규 데이터센터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14]
장기적 안목을 가진 투자자들이 일본의 산업 진화에 주목하고 있으며, 사모펀드들은 유틸리티,[9] 항공,[10] 교통 인프라[11] 에 투자하고 있다. 한편, 기록적인 금액의[12] 드라이파우더가 여전히 투입 가능하다. 글로벌 기업들이 단순 전자제품 오퍼레이션의 일부를 중국에서[15] 베트남, 멕시코 및 기타 시장으로 이전하는 상황에서 일본은 보다 복잡한 기술에 대한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역량은 제약[16] 및 로봇공학[17] 분야에서도 성장하고 있다.
현실 직면, 그리고 경쟁자
가장 진취적인 일본 기업들은 장기적으로 가치를 창출할 거대한 기회가 있다. 현재 일본과 중국(54% 관세[18] 부과됨) 간에 존재하는 미국의 관세격차는 일본의 대미 수출에 일시적으로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신질 생산력’, 즉 첨단 제조업에 집중해온 중국은 이미 전기차, 드론 제조,[19]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가치사슬에서 자국 위상을 성공적으로 격상시켰다. 일본 기업들이 한때 이 분야의 선두주자였다.
더군다나 다른 국가가 보복할 경우, 일본 기업의 핵심 파트너인 미국 기술기업의 매출 성장률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일본 기술업계가 충분한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재를 유치, 통합하고 기존 인력의 숙련도를 높이는 일도 매우 중요할 것이다.
트럼프의 관세로 인해 일본은 기술 산업을 업그레이드하려는 노력을 가속화할 수 있다. 이는 트럼프가 예상한 시나리오는 아닐지 모르지만, 특히 미-중 경쟁이 심화되고 일본의 대미 투자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트럼프를 달래줄 시나리오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북아시아 경제 상황 전개를 탐색하는 것은 부의 창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증권 담보 파이낸싱은 투자자가 보유 포트폴리오를 포지셔닝하여 이러한 잠재력을 포착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1] https://www.buzzfeednews.com/article/ilanbenmeir/that-time-trump-spent-nearly-100000-on-an-ad-criticizing-us
[2] https://www.bbc.com/news/articles/c4gp5pw654lo
[3] https://www.reuters.com/markets/asia/japans-nikkei-tumbles-more-than-4-trumps-tariffs-2025-04-03/
[4] https://www.csis.org/analysis/resolved-abes-investment-his-relationship-president-trump-has-advanced-japanese-interests
[5] https://www.pbs.org/newshour/world/watch-trump-talks-trade-with-japans-prime-minister
[6] https://asia.nikkei.com/Economy/Trade-war/Japan-Inc.-more-eager-to-expand-in-U.S.-amid-Trump-tariff-fears
[7] https://www.nbr.org/publication/u-s-and-japanese-economic-security-policies-promoting-and-protecting-advanced-technologies/
[8] https://www.reuters.com/technology/us-japan-set-agree-joint-research-semiconductors-media-2022-07-29/
[9] https://www.hinrichfoundation.com/research/article/trade-and-geopolitics/japan-plan-to-restructure-global-supply-chains/
[10]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4-09-04/nvidia-joins-100-million-funding-for-year-old-japan-ai-startup
[11] https://asia.nikkei.com/Business/Tech/Semiconductors/TSMC-speeds-diversification-push-with-new-Japan-chip-plant
[12] https://openai.com/index/announcing-the-stargate-project/
[13] https://www.wipo.int/web-publications/world-intellectual-property-indicators-2024-highlights/en/patents-highlights.html
[14] https://cushwake.cld.bz/asiapacificdatacentreupdateh22024-02-2025-apac-regional-en-content-datacentres/2/
[15] https://www.spglobal.com/_assets/images/ratings/research/3254492_15831818.svg
[16] https://www.swissinfo.ch/eng/multinational-companies/japan-tries-to-win-back-big-pharma/86900114
[17] https://www.bloomberg.com/news/features/2025-03-06/thousands-of-cat-eared-robots-are-waiting-tables-in-japan
[18]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03/us-tariffs-seen-as-far-worse-shock-to-china-than-first-trade-war
[19] https://www.technologyreview.com/2024/06/26/1094249/china-commercial-drone-dji-security/
면책조항
과거 성과는 미래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별 수익률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본 문서는 공인 투자자, 정통한 투자자, 전문 투자자, 또는 기타 법률이 요구하는 자격을 갖춘 적격 투자자만을 대상으로 하며, 관련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자들은 본 문서의 대상이 아니며 본 문서를 사용해서도 안됩니다. 본 문서상 제공된 내용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며, 그 본질상 일반적인 것이며, 특정한 목적 또는 금융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본 문서에 언급된 견해 및 의견은 제3자에 의해 작성된 것이며, 반드시 EquitiesFirst의 견해 및 의견을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EquitiesFirst는 본 문서상 제공된 정보를 독립적으로 검토하거나 확인하지 않았으며, 해당 정보가 정확하거나 완전하다는 진술을 하지 않습니다. 본 문서상 제공된 의견과 정보는 통지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내용은 그 어떠한 유가증권, 투자, 또는 금융상품에 대한 매매의 청약(또는 매매의 청약의 권유)(“청약”)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어떠한 청약도 모두 주요 조건을 명시한 관련 모집문서 또는 기타 문서를 통해서만 이루어지게 됩니다. 본 문서에 포함된 그 어떠한 내용도, 특정 투자 상품에 대한 Equities First Holdings, LLC 또는 그 자회사(집합적으로 “EquitiesFirst”)의 추천, 권유, 초청, 유인, 판촉, 또는 구매 또는 매매의 청약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본 문서는 EquitiesFirst의 투자, 법률, 또는 세무 자문으로 간주되거나 EquitiesFirst의 추천, 참조, 또는 보증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독립적인 금융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본 문서에는 미국 및 기타 국가에서의 EquitiesFirst의 지적재산권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는 그 각각의 로고와 기타 등록/미등록 상표 및 서비스표 등도 포함됩니다. EquitiesFirst는 본 문서에 포함된 EquitiesFirst지적재산권에 대한 모든 권리를 보유합니다. 본 문서의 수령인은 그 전부 또는 일부를 타인에게 배포, 발간, 복제, 또는 달리 제공해서는 안되며, 특히 그러한 배포가 법률 또는 규제 요건의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국가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배포해서는 안됩니다.
EquitiesFirst는본문서와관련하여그어떠한진술이나보증도하지않으며, 법에의한묵시적보증을명시적으로부인합니다. 귀하는어떠한상황에서도 EquitiesFirst가직접손해, 간접손해, 특별손해, 파생적손해, 부수적손해, 또는징벌적손해에대해책임지지않음을인정하며, 이에는 (EquitiesFirst가손해의가능성을통지받은경우에도) 일실이익또는일실기회등도포함됩니다.
EquitiesFirst는표시한관할권에특별히적용될수있는다음의내용을추가로선언합니다:
호주: Equities First Holdings (Australia) Pty Ltd (ACN: 142 644 399)는 호주 금융서비스 라이선스(AFSL 번호: 387079)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문서에 포함된 정보는 호주에 거주 중이며 2001년 회사법 섹션 761G에 도매고객으로 분류된 자들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위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자에게 하는 정보의 배포는 법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정보를 입수하게 되는 사람은 자문을 구하고 해당 제한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본 문서에 포함된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에 한정된 것이며, 금융상품의 구매 또는 판매에 대한 오퍼, 권유, 또는 추천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합니다. 본 문서에 포함된 정보는 그 본질상 일반 정보로 의도된 것이며, 개인적인 금융상품 자문은 아닙니다. 본 문서에 포함된 조언은 일반적인 조언일 뿐이며, 귀하의 목표, 재무 상황 또는 필요를 고려하지 않고 작성한 것입니다. 어떠한 정보를 기반으로 행동을 취하기 전에 귀하는 자신의 목표, 재무 상황 및 필요에 비추어 제공 정보의 타당성 및 해당 금융상품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독립적인 재무 자문을 구하고 관련 정보공개진술서 또는 기타 모집 문서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두바이: Gate Precinct Building 4, 6th Floor, Office 7, Dubai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에 위치한 Equities First Holdings Hong Kong Ltd (DIFC 대표사무소)(상업 라이선스 번호 CL7354)는 두바이 금융서비스청(“DFSA”)의 규제를 받는 대표사무소입니다(DFSA 회사참조번호: F008752).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문서에 포함된 정보는 그 본질상 일반 정보로 의도된 것이며, 자문으로 인식되는 경우, 본 문서에 포함된 조언은 일반적인 조언일 뿐이며 귀하의 목표, 재무 상황, 해당 금융상품의 적합성, 또는 귀하의 필요를 고려하지 않고 작성한 것입니다.
본 문서에 포함된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에 한정된 것이며, 재무 자문으로(금융상품의 구매 또는 판매에 대한 오퍼, 권유, 또는 추천 포함) 간주되지 않아야 합니다. 본 문서에 포함된 정보는 그 본질상 일반 정보로 의도된 것이며, 본 문서에 포함된 조언은 일반적인 조언일 뿐이며, 귀하의 목표, 재무 상황, 해당 금융상품의 적합성, 또는 귀하의 필요를 고려하지 않고 작성한 것입니다. 어떠한 정보를 기반으로 행동을 취하기 전에 귀하는 자신의 목표, 재무 상황 및 필요에 비추어 제공 정보의 타당성 및 해당 금융상품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본 문서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공인 재무자문과 상담하셔야 합니다.
본 문서는 DFSA로부터 어떠한 형태의 규제나 승인도 받지 않는 금융상품에 관한 것입니다. DFSA는 이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어떠한 문서도 검토하거나 확인할 책임이 없습니다. 따라서 DFSA는 본 문서 또는 기타 관련 문서를 승인하거나, 본 문서에 명시된 정보를 검증하기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홍콩: Equities First Holdings Hong Kong Limited는 홍콩증권선물위원회 Type 1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금업자 조례(대금업자 라이선스 번호 1659/2024)에 의거하여 허가를 받았습니다. 본 문서는 홍콩 증권선물위원회의 검토를 받지 않았습니다. 이는 Equities First Holdings Hong Kong Limited가 운용 또는 제공하는 증권의 판매를 위한 오퍼, 또는 운용 또는 제공하는 상품의 구매에 대한 권유가 아니며, 전문투자자들만을 위한 것입니다. 본 문서는 오퍼 또는 권유가 불법이거나 금지된 개인 또는 기관을 위한 것은 아닙니다.
한국: 위 내용은 고급 투자자, 전문 투자자, 또는 증권 파이낸싱 거래를 체결하기에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기타 적격 투자자만을 위한 것입니다. 본 문서는 위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자들을 대상으로 하지 아니하며, 이들에 의하여 사용되어서도 안됩니다.
영국: Equities First (London) Limited는금융감독청(“FCA”)의승인을받았으며그로부터규제를받습니다. 영국내에서본문서는금융서비스및시장법 2000(금융촉진) 명령 2005 (“FPO”)의제4장제19조제(5)항(투자전문가) 및제49조제(2)항(고액순자산보유회사, 비법인단체등)에명시된범주의자에게만배포및제공되며, 본프레젠테이션과관련된투자활동은그러한자들만이수행할수있습니다. 투자관련전문적경험이없거나 FPO 제49조에서정하는바에해당되지않는사람은본문서를근거로행위할수없습니다. 본문서는금융상품시장에관한지침에서정하는전문투자자에해당되는자만을위해작성 작성되었으며해당전문투자자들에게만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