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헬스테크의두가지기회

2025 2 24

중국의 의료 섹터는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 변화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빠르게 고령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국가로, 기대수명이 길어지고 출산율이 감소함에 따라 2040년에는[1] 60세 초과 인구 비율이 28%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의료비 지출도 함께 급증하여 2030년에는 약 28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2]

이러한 급속한 팽창은 혁신적 의료 솔루션에 대한 수요를 촉진하여, 중국의 헬스테크 업계가 국내 수요를 충족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손꼽히는 강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해주고 있다. 특히 증권담보 파이낸싱을 통해 시장을 탐색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야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한다.

중국에서 가장 혁신적인 일부 제약기업들의 최근 성과를 보면 이러한 기회가 보인다. 중국 증시의 2024년 9월 말 급상승 이후, 중국 데이터 제공업체 Wind가 추적하는 혁신의약품컨셉(Innovative Drugs Concept) 지수는 주요 CSI 헬스케어 토털리턴 지수 및 CSI 300 지수 대비 10%의 초과성과를 거두었다.[3] 이러한 추세는 기술 발전과 정부의 우호적 정책에 힘입은 헬스케어 및 생명공학의 미래에 대한 투자자들의 확신을 보여준다.

헬스케어 섹터의 번영을 뒷받침할 수 있는 핵심 기술발전 중 하나는 인공지능(AI)의 도입이다. 이는 신약 개발 등의 분야에서 중대한 역할을 할 수 있다.[4] 중국의 AI 플랫폼 딥시크(DeepSeek)는 지난 1월, 비교적 적은 데이터를 사용하고 기존 서비스 비용보다 훨씬 낮은 비용으로 운영된다고 주장하는 무료 AI 비서를 공개하여 ChatGPT 등의 기존 플랫폼에 대한 강력한 도전자로 부각되면서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AI는 의료 섹터를 뒤흔들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2018년 이후, 각각 고유한 알고리즘을 갖추고 영상진단장치, 진단 및 신약개발에 집중하는 100개 이상의 제약회사가 중국에 설립되었다.[5]

2023년 중국에서는 전적으로 AI에 의해 최초로 생산된 약물이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 돌입했으며, 현재 많은 제약그룹이 신약개발에 대한 AI 활용의 장기 전망을 고려하여 연구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6] 중국의 만성 및 자가면역 질환 치료제 시장의 가치가 2030년 약 2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7] AI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신경퇴행성, 심장 및 폐 질환 등의 노화관련 질환을 퇴치하기 위한 신약이 필요한 중국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투자 촉진

이미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AI 섹터의 펀딩 갭을 메우기 위해 오랫동안 국내 기업에 자본과 지원을 제공해왔으며, 칭화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혁신의 경계를 넓히고 있는 AI 스타트업들이 나타나고 있다.[8]

또한 중국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38,000건의 생성형 AI 특허를 출원하여 생성형 AI 특허 분야에서 이미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미국은 약 6,276건).[9]

미국 AI 시장의 규모와 투자 지원은 중국에 비해 훨씬 크지만, 중국의 AI 산업은 헬스테크 붐의 잠재력을 간파하고 있는 국부펀드를 비롯한 중동 펀드에게 매우 매력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카타르투자청은 중국 생명공학기업 Wuxi XDC의 2023년 11월 기업공개에 코너스톤 투자자로 참여했으며,[10] 2024년 중반 바레인 소재 투자회사 Investcorp와 국부펀드 중국투자공사는 걸프만과 중국의 각종 업계에(의료 포함) 걸쳐 고성장 기업에 투자하는 10억 달러 규모의 플랫폼을 출범시켰다.[11]

최근 중국이 자국 생명공학 산업을 해외 기업에 개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이 섹터도 해외 투자를 끌어들이고 있다.[12]

클라우드 컴퓨팅과 AI 시스템에 이미 익숙하며 입지가 확실한 중국 현지 기술기업들도 이러한 흐름에 뛰어들고 있다.

지난 5년간 인터넷 기업 텐센트가 실행한 스타트업 투자의 10% 이상이 헬스케어 섹터에서 이루어졌으며, 이 중 약 72%는 중국 본토와 홍콩에서 이루어졌다.  한편 알리바바 그룹과 JD.com도 헬스케어 분야에 진출하고 있다.[13]

보유한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이들 기업은 헬스테크 및 디지털 헬스케어 업계에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어, Alibaba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사업의 핵심 축으로 삼고 있다. 동사는 헬스케어 및 의료 분야에서 AI 대규모 음성 모델의 추가 활용을 모색하면서 디지털 헬스케어를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14]

기회 활용

중국의 헬스케어 업계가 주목을 받으면서 투자자들은 두 가지 기회를 얻게 되었다. 즉, 스타트업이 성숙하고 성장함에 따라 새로운 기업이 부각되고, 헬스테크는 다른 섹터의 기업에게 새로운 측면의 투자 스토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기존의 고성과 자산에 대한 익스포저를 유지하면서 이러한 신규 기회를 활용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과제에 직면해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투자자는 기존 포트폴리오에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해주는 증권담보 파이낸싱을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빠르게 부각되는 기회를 포착하는 데 타이밍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헬스테크 등의 섹터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투자자는 보유증권을 활용하여 기존의 우량주 포지션을 유지하는 동시에 유망한 헬스테크 기업에 자본을 투입할 수 있다.

신중한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이다. 헬스테크 등의 섹터에 내재된 변동성을 고려할 때, 투자자는 증권담보 파이낸싱을 실행하기 전에 시장 변동성 및 규제 변화에서부터 기업별 리스크 및 밸류에이션에 이르기까지 모든 요인을 예의주시해야 한다.

하지만 중국 헬스테크 투자의 장기적인 전망은 밝다. AI 기반 혁신, 정부 지원, 증가하는 국제 투자의 조합에 힘입어 비옥한 성장의 토대가 생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증권담보 파이낸싱을 활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를 전략적으로 탐색하면 투자자는 시장의 잠재력을 활용하기에 유리한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1] https://www.who.int/china/health-topics/ageing

[2] https://www.invesco.com/apac/en/institutional/insights/equity/china-healthcare-outlook-for-2025.html

[3] https://www.invesco.com/apac/en/institutional/insights/equity/china-healthcare-outlook-for-2025.html

[4] https://globalventuring.com/corporate/investment/tencent-china-healthcare-investment/

[5] https://www.chinadaily.com.cn/a/202403/18/WS65f7fb89a31082fc043bd3e3.html

[6] https://www.jpmorgan.com/insights/global-research/artificial-intelligence/ai-transforming-industries-china

[7] https://www.jpmorgan.com/insights/global-research/artificial-intelligence/ai-transforming-industries-china

[8] https://itif.org/publications/2024/08/26/how-innovative-is-china-in-ai/

[9] https://www.reuters.com/technology/artificial-intelligence/china-leading-generative-ai-patents-race-un-report-says-2024-07-03/

[10] https://www.bdapartners.com/wp-content/uploads/2024/04/2024-China-Healthcare-MA-Outlook_16Apr24.pdf

[11] https://www.al-monitor.com/originals/2024/04/bahrains-investcorp-chinas-cic-launch-1b-sino-gulf-investment-platform

[12] https://rouse.com/insights/news/2024/china-s-new-policies-on-foreign-investment-in-healthcare-and-biotechnology-catalyzing-innovation-and-strengthening-patent-protection

[13] https://globalventuring.com/corporate/investment/tencent-china-healthcare-investment/

[14] https://www1.hkexnews.hk/listedco/listconews/sehk/2024/1113/2024111300821.pdf

면책조항

과거 성과는 미래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별 수익률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문서는 공인 투자자, 정통한 투자자, 전문 투자자, 또는 기타 법률이 요구하는 자격을 갖춘 적격 투자자만을 대상으로 하며, 관련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자들은 문서의 대상이 아니며 문서를 사용해서도 안됩니다. 문서상 제공된 내용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며, 본질상 일반적인 것이며, 특정한 목적 또는 금융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문서에 언급된 견해 의견은 3자에 의해 작성된 것이며, 반드시 EquitiesFirst 견해 의견을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EquitiesFirst 문서상 제공된 정보를 독립적으로 검토하거나 확인하지 않았으며, 해당 정보가 정확하거나 완전하다는 진술을 하지 않습니다. 문서상 제공된 의견과 정보는 통지 없이 변경될 있습니다. 제공된 내용은 어떠한 유가증권, 투자, 또는 금융상품에 대한 매매의 청약(또는 매매의 청약의 권유)(“청약”) 구성하지 않습니다. 어떠한 청약도 모두 주요 조건을 명시한 관련 모집문서 또는 기타 문서를 통해서만 이루어지게 됩니다. 문서에 포함된 어떠한 내용도, 특정 투자 상품에 대한 Equities First Holdings, LLC 또는 자회사(집합적으로 “EquitiesFirst”) 추천, 권유, 초청, 유인, 판촉, 또는 구매 또는 매매의 청약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문서는 EquitiesFirst 투자, 법률, 또는 세무 자문으로 간주되거나 EquitiesFirst 추천, 참조, 또는 보증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독립적인 금융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문서에는 미국 기타 국가에서의 EquitiesFirst 지적재산권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는 각각의 로고와 기타 등록/미등록 상표 서비스표 등도 포함됩니다. EquitiesFirst 문서에 포함된 EquitiesFirst지적재산권에 대한 모든 권리를 보유합니다. 문서의 수령인은 전부 또는 일부를 타인에게 배포, 발간, 복제, 또는 달리 제공해서는 안되며, 특히 그러한 배포가 법률 또는 규제 요건의 위반으로 이어질 있는 국가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배포해서는 안됩니다.

EquitiesFirst는본문서와관련하여그어떠한진술이나보증도하지않으며, 법에의한묵시적보증을명시적으로부인합니다. 귀하는어떠한상황에서도 EquitiesFirst가직접손해, 간접손해, 특별손해, 파생적손해, 부수적손해, 또는징벌적손해에대해책임지지않음을인정하며, 이에는 (EquitiesFirst가손해의가능성을통지받은경우에도) 일실이익또는일실기회등도포함됩니다.

EquitiesFirst는표시한관할권에특별히적용될수있는다음의내용을추가로선언합니다:

호주: Equities First Holdings (Australia) Pty Ltd (ACN: 142 644 399)는 호주 금융서비스 라이선스(AFSL 번호: 387079)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서에 포함된 정보는 호주에 거주 중이며 2001 회사법 섹션 761G 도매고객으로 분류된 자들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자에게 하는 정보의 배포는 법에 의해 제한될 있으며, 정보를 입수하게 되는 사람은 자문을 구하고 해당 제한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본 문서에 포함된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에 한정된 것이며, 금융상품의 구매 또는 판매에 대한 오퍼, 권유, 또는 추천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합니다. 본 문서에 포함된 정보는 그 본질상 일반 정보로 의도된 것이며, 개인적인 금융상품 자문은 아닙니다. 본 문서에 포함된 조언은 일반적인 조언일 뿐이며, 귀하의 목표, 재무 상황 또는 필요를 고려하지 않고 작성한 것입니다. 어떠한 정보를 기반으로 행동을 취하기 전에 귀하는 자신의 목표, 재무 상황 및 필요에 비추어 제공 정보의 타당성 및 해당 금융상품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독립적인 재무 자문을 구하고 관련 정보공개진술서 또는 기타 모집 문서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두바이: Gate Precinct Building 4, 6th Floor, Office 7, Dubai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에 위치한 Equities First Holdings Hong Kong Ltd (DIFC 대표사무소)(상업 라이선스 번호 CL7354)는 두바이 금융서비스청(“DFSA”)의 규제를 받는 대표사무소입니다(DFSA 회사참조번호: F008752).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문서에 포함된 정보는 그 본질상 일반 정보로 의도된 것이며, 자문으로 인식되는 경우, 본 문서에 포함된 조언은 일반적인 조언일 뿐이며 귀하의 목표, 재무 상황, 해당 금융상품의 적합성, 또는 귀하의 필요를 고려하지 않고 작성한 것입니다.

본 문서에 포함된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에 한정된 것이며, 재무 자문으로(금융상품의 구매 또는 판매에 대한 오퍼, 권유, 또는 추천 포함) 간주되지 않아야 합니다. 본 문서에 포함된 정보는 그 본질상 일반 정보로 의도된 것이며, 본 문서에 포함된 조언은 일반적인 조언일 뿐이며, 귀하의 목표, 재무 상황, 해당 금융상품의 적합성, 또는 귀하의 필요를 고려하지 않고 작성한 것입니다. 어떠한 정보를 기반으로 행동을 취하기 전에 귀하는 자신의 목표, 재무 상황 및 필요에 비추어 제공 정보의 타당성 및 해당 금융상품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본 문서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공인 재무자문과 상담하셔야 합니다.

본 문서는 DFSA로부터 어떠한 형태의 규제나 승인도 받지 않는 금융상품에 관한 것입니다. DFSA는 이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어떠한 문서도 검토하거나 확인할 책임이 없습니다. 따라서 DFSA는 본 문서 또는 기타 관련 문서를 승인하거나, 본 문서에 명시된 정보를 검증하기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홍콩: Equities First Holdings Hong Kong Limited는 홍콩증권선물위원회 Type 1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금업자 조례(대금업자 라이선스 번호 1659/2024)에 의거하여 허가를 받았습니다. 본 문서는 홍콩 증권선물위원회의 검토를 받지 않았습니다. 이는 Equities First Holdings Hong Kong Limited가 운용 또는 제공하는 증권의 판매를 위한 오퍼, 또는 운용 또는 제공하는 상품의 구매에 대한 권유가 아니며, 전문투자자들만을 위한 것입니다. 본 문서는 오퍼 또는 권유가 불법이거나 금지된 개인 또는 기관을 위한 것은 아닙니다.

한국: 위 내용은 고급 투자자, 전문 투자자, 또는 증권 파이낸싱 거래를 체결하기에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기타 적격 투자자만을 위한 것입니다. 본 문서는 위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자들을 대상으로 하지 아니하며, 이들에 의하여 사용되어서도 안됩니다.

영국: Equities First (London) Limited는금융감독청(“FCA”)의승인을받았으며그로부터규제를받습니다. 영국내에서본문서는금융서비스및시장법 2000(금융촉진) 명령 2005 (“FPO”)의제4장제19조제(5)항(투자전문가) 및제49조제(2)항(고액순자산보유회사, 비법인단체등)에명시된범주의자에게만배포및제공되며, 본프레젠테이션과관련된투자활동은그러한자들만이수행할수있습니다. 투자관련전문적경험이없거나 FPO 제49조에서정하는바에해당되지않는사람은본문서를근거로행위할수없습니다. 본문서는금융상품시장에관한지침에서정하는전문투자자에해당되는자만을위해작성 작성되었으며해당전문투자자들에게만제공됩니다.